Home > 정보 창고 > 성서의 활용 > 성서와 한국근대문화
성서가 국어에 미친 영향
김윤경 <문학박사 연세대학교 문리대 교수>
    4. 성경의 전파

이렇게 하여 나온 성경은 (1) 월급받는 행상인, (2) 구문 먹는 판매인, (3) 서점, 세 가지 주요한 방법으로 전파하였다.

성경이나 성경의 각 부분(사복음이나 사도행전 시편)을 널리 전파하였다는 것은 곧 그만치 한국말을 세련시키고 보급시키었다는 것을 증거하는 것이다. 그 전에는 한무능로 된 책만을 읽고 한글로 된 책은 읽는 일이 극히 드물었기 때문에 국어는 한 폐물이 되엇 발전은 고사하고 소멸될 위기에 있었던 것인데 예수교인이 늘었다거나 성경을 많이 전파하였다 함은 국문을 많이 배원 성경을 많이 읽게 되고 말을 발전시키게 되었음을 증거하는 것이다. 서상륜이 봉천에서 복음 서류나 종교 서류를 가지고 천신 만고로 국경을 넘어 들어 온 뒤로 고종 28년(서기 1886)까지 15,690권을 전파하였으며, 그 다음해(서기 1887)에 영국 성서공회 만주지부 털리 총무가 취임되던 해에 6,060권의 성경이 전파되었다. 또 그 해에 신약전서가 전부 번역 출판되어 고종 29년(서기 1892)깢지 57,800권이 전파되었으며, 광무 9년(서기 1905)에 영국 성서공회는 98,498권의 성경을 전파하였고, 미국 성서공회도 융희 2년(서기 1908)에 영국 성서공회와 갈리어 따로 지부를 서울에 두게 된 뒤로 10년만에(1919년 4월 1일 영국 성서공회와의 약속을 걷어감) 2,379,751권의 성경을 전파하였으며, 영국 성서공회는 고종 32년(서기 1895)에 그 지부를 한국에 설치한 이래 1936년까지 18,079,466권의 성경을 전파하였다.

일본 제국 말기를 당하여 그 식민주의, 침략주의는 1931년, 1932년에 만주 사변을 일으키고(3월에 만주국이란 허수아비 나라를 세움) 그 다음 1937년 7월에 중국 침략전을 일으키고 1941년 12월 8일에 미국과 영국에 선전을 포고하여 제2차 세계대전에 뛰어 들었다. 이는 만주와 중국, 남양 군도를 침략하기에는 미국과 영국이 방해되므로 이를 먼저 꺾어 넘기어야 되겠다는 뱃장에서 나온 것이다. 이같이 함에는 이미 삼킨 한국이 잘 소화되지 않음이 걱정이 되엇 극단의 탄압 정책을 써서 우리말과 글을 전혀 못 쓰게 하여 폐지하는 우악한 정책을 쓰고 민족주의 사상을 박멸하여 얼없는 일본 사람이 되라는 동화 정책을 썼다. 그 증거로는 각 교육 기간에서 “조선어”과목을 아주 없애고 일본말만 쓰라고 강요하며(어린 소학생부터 전문 대학까지) 관공청, 회사는 물로닝고 각 가정에서도 “고꾸고 죠요”(國語=日本語常用)를 강제하였으며 “동우회”사건(1937년)관 “흥업구락부”사건(1938년), “조선어학회”(나중의 “한글학회”) 사건(1942년)을 일으킴이 그것이다. 이러한 때에도 그리스도 교회의 예배와 성경 공부만은 일본말을 쓰라고 강요하지 못하였다. 이 점에서도 그리스도교는 우리말 쇠망을 막음에 큰 공로가 있는 것이다. 이 점을 노림인지 1940년 11월 23일에는 성서 위원에 일인을 집어 넣게 강요하는 동시에 서양 선교사를 “적”이라 하여 선교회 관계 재산과 학교를 “적산”(敵産)이라하여 일본 사람 관리로 관리하게 하였기 때문에 성경 전파 사업도 중지되고(1942년 5월 23일 영국 성서공회 재산을 적산 편입으로) 말았다.

해방(1945년 8월 15일)이 되었다. 적산의 성서공회도, 모든 선교회 계통의 학교나 재단도 다 해방되었다. 그러나 중단되었던 동안 성경은 요구에 응할 수가 없었으므로 4279년(서기 1946)에 미국 성서공회에서 우리말 신약전서 5만권(외국어 성경전서 164권, 신약전서 2,947권, 단편 1,210권 합하여 54,321권)을 보내어 주어서 전쟁중 성경 기갈을 좀 덜어 주었고, 4281년(서기 1948)에는 영국 성서공회에서 우리말 성경 전서 5,020권(영어 성경 전서 100권, 한문 신약 전서 50권 합하여 5,170권)을 보내어 왔다.

4278년(서기 1945) 10월 11일에 정태응 총무의 소개로 이풍한씨의 30여 만 평의 토지를 기부받아 4280년(서기 1947) 8월 19일에 문교부로부터 “대한성서공회” 재단법인의 인가를 받았다. 그러나 공산군이 쫓기어 가던 때(1950년 9월27일)에 종로 일대에 불을 지른 때문에 성서공회 건물도 타버리게 되었고, 부산 피난 중에도 큰 화재(4286년, 서기 1953년 11월)로 20여만권의 성경(그외 5,6백 련의 인쇄용지와 4,5백 권의 참고서와 함께)이 타버리었다.

이제 한국 땅에서 전파된 성서 총수를 헤아려 보겠다. 목숨을 걸고서 관가의 눈을 피하여가며 전하여진 것을 비롯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 즉 1883년에서 1959년까지 77년간의 전파수를 몇단계로 시대구분을 지어 밝혀 보면 다음과 같다.


     연도별       성경전서       신  약         단  편          점  자       합  계


  1883~1936      129,035     1,364,724    16,585,707                    18,079,466
  1937~1952      148,409     1,143,281      5,093,587                     6,385,277
  1953(4286)       36,955       160,507         502,062         504          700,028
  1954(4287)       35,420       188,394         386,983       1,144          611,941
  1955(4288)       32,656       151,090         342,362         697          526,805
  1956(4289)       34,075       214,027         559,515       1,643          809,260
  1957(4290)       28,865       172,060         663,792       1,549          756,266
  1958(4291)       28,436       143,695         634,366       1,122          807,619
  1959(4292)       28,342       158,631         523,185       2,532          712,741
     합  계         224,749     1,188,404      3,502,265       9,243        2,924,660
     총  계         502,193     3,696,409     25,181,559       9,242       29,389,403


그리고 한 가지 덧붙이어 말하고 싶은 것은 선교사들이 우리말을 배우기 위하여, 그리하여 성겨어을 가르치고 전도하기 위하여 우리말 사전들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천주교 선교사들이 한.불(韓佛)사전과 말본을 지어 출판한 것과 같이 신교의 선교사들도 사전을 만들은 것이다. 이것은 우리말을 국제적으로 소개하는 데에 큰 공헌이 된 것이다. 그 중요한 것들을 들면 다음과 같다.

언더우드, “韓英文法, 1889.
(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Spoken Language.)
언더우드, “韓語字典” 1890. 橫濱.
(A Concise Dictionary of Korean Language)
그 첫권 “韓英字典”
(Vol. Ⅰ. Korean-English)
그 둘째권 “英韓字典”
(Vol. Ⅱ. English-Korean)
方達智, “羅甸韓字典”. 1891, 香港.
(Parvum Vocabhlarium Lation-Coreanum, ad usum Studiosae Juventu is Coreanae. Hongkong. Typis Societatie Missionum ad Exteros. 1891)
쩸쓰 스코트, “英韓字典” 1891.
(English-Korean Dictionary.)
께일, “辭課指南”, 1893.
(Korean Gramatical Forms)
께일, “韓英字典”, 1897.
(A Korean-English Dictionary.)
알레벡, “法韓字典”. 1901.
(Charles Alevegue, Petit Dictionaire Francais-Coreen)
하지, “韓語小辭典”, 1902.
(John W. Hodge, The Stranger's Handbook of the Korean Language)
(표지 안의 제목은 “Corean Words and Phrases being a handbook and Pocket Dictionary for Visitors to Corea and New Arrivals in the Country.)

 
   1. 서론

   2. 그리스도교가 들어온 유래

   3. 성경 번역의 시작과 완성

  4. 성경의 전파

   5. 성경 공부

   6. 세 가지 문체의 하나인 성경식 문체를 이룸

   7. 결론